2차세계대전 독일 최강의 중전차 티거2
by 기억하나 | 19.07.11 03:05 | 2,331 hit




최근 2차세계대전을 배경으로 하는 실시간 SLG게임 프론트라인이 나왔는데
버나드 몽고메리, 체스터 니미츠등 2차대전의 실제 주역들이 등장을 하고
에식스 항공모함, B-29 슈퍼포트리스, 티거2 등 실제의 병기들도 나옵니다.
이중에 티거2는 2차세계대전 독일 최강의 중천차로 불리는데요





티거2
중량: 69.7톤
탑승 승무원: 5명
엔진: 마이바흐 -HL230 P30 수랭식 V형 12기통 가솔린엔진
최고속도: 도로(38) 야지(17)
항속거리: 도로(110) 야지(85)
연료적재량: 860L
연료소비량: 도로기준 1000Km에 782L


티거2는 전쟁이 막바지를 걷던 1944년 동,서연합군의 공격에 독일은 공수 밸런스가 맞는
강력한 수비형 전차를 필요로 했고 그래서 만들어진 것으로
지금까지도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독일 쵝아의 중전차 입니다.
티거 전차를 만들때 거의 동일하게 헨셀과 포르쉐가 서로 경쟁을 시작했죠.


먼저 포르쉐가 설계안을 제시





이 전차의 이름은 VK45.02(p)입니다.
이 포르쉐 티거2는 전기+연료 구동식 하이브리드 엔진을 채택하고 있었는데
험지 주행성이 아주 바닥을 기는 정도인데다 툭하면 불나지...
거기에다가 포탑이 겨우 100mm에 불과할정도로 장갑이 얇은 데다 과도한 곡면 설계로 인해
생산성이 떨어졌고, 이 설계 덕분에 내부 공간 활용에도 문제가 생겼죠.
결정적으로 포탑 전면의 곡면 하부에 포탄이 피격될 시 미끄러진 포탄이 차체 상면을 직격하는 트랩샷 현상이 발생할수 있었습니다.





이건 헨셀 사의 설계안인데
포탑을 수직 185mm장갑으로 바꾸어 샵트랩 문제를 해결했고, 방어력을 향상시켰죠
결국 헨셀사의 티거2가 채택이 되면서
VK45.03(H)은 6호 전차 B형 이라는 정식 명칭을 가지게 됩니다.


-흑역사이긴 하지만...
실전에 나가자마자 바로 
T-34 85 한대에게 티거2 3대가 격파를 당하는 대참사가 발생했는데
격파 원인은 포탑 측면과 포탑링을 근거리에서 강타 당한 탓에 내부 포탄 유폭..
그이후로 티거2의 포탑 측면의 예비탄 보관소를 더이상 사용하지 말라는 명령이 내려와
휴행탄수가 68발로 줄어들었죠.





흑역사는 뒤로 하고 티거2의 장점을 말해보면..
1. 강력한 화력
티거2는 88mm포는 티거1의 88mm보다 주포의 관통력과 작약이 향상된 포
이 주포로는 당시에 모든 연합군 전차를 격파할수 있었습니다.


2. 독일 특유의 좋은 조준경
조준경이 좋아서 1.8km~2Km나 떨어져있는 원거리에서도 쉽게 연합군 전차를 격파가 가능
연합군으로는 자기들을 보이지도 않는 거리에서 아군 전차가 털려나가니 미치고 환장할 지경이었을듯..


3. 뛰어난 방어력
차체 방어력은 당대 최고라고 해도 어울릴 정도로 서부전선에서 티거2의 차체가 연합군의 전차나 대전차포에
격파당한일이 단 한번도 없었습니다.
동부전선에서도 상황은 마찬가지였고
소련 122mm IS-2나 이런 전차들로 티거2를 격파하려면 200m에서 차체하부를 노려야 겨우 격파가 가능했고
포탑은 100m까지 들어와야 겨우 격파가 가능할정도!





그리고 국방군 503 중전차 대대 사열식 장면을 보면
간지가 철철 넘침..







추천 0
비추 0

댓글 1

wave 2019.07.14 11:31
2차세계대전 독일 최강의 중전차 티거2

유머게시판 다른 게시글

게시물 더보기

유머게시판 인기 게시글

  1. 레이븐2 PV 분석 ㄷㄷ11,584
  2. 임요환 선수의 거대한 그릇이 느껴졌던 때13,953
  3. 마음이 몽골몽골해지는 아키에이지 만화14,061
  4. 넥슨 엔씨 죄다 저격하면서 나온 레이븐2.jpg22,972
  5. 요즘 대세라는 게임 장르.jpg31,303
  6. 최근 주가가 오른 넷마블의 행보34,181
  7. 은근 넷마블거 같아진 일본 원작 IP38,392
  8. 2024년을 휩쓸고 있는 게임사의 "초소형" 기…44,301
  9. 19주년 된 게임 근황.jpg52,050
  10. 나혼렙 게임 유저들의 신박한 이벤트51,037

2024.06.18 00:00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