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랑의 진실
by 돼지토끼 | 19.09.28 08:22 | 1,196 hit



 
 
 
대부분의 한국인들이 전통민요라고 굳게 믿고 있는 노래 '아리랑'
 
사실은 1926년에 나운규가 만든 영화 주제가임...
 
https://www.youtube.com/watch?v=i9f8kkxzUYE
 
철도 노동자들이 부르던 "노동요"를 나운규가 영화 주제곡으로 새로 만들어 쓴 거
 
 
 
[추가]
 
댓글에 하도 엉뚱한 말이 많아서 추가 합니다.
 
'아리랑'이라는 제목의 노래는 지역마다 있고 ,많은데요.
 
우리가 아는 바로 그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로 넘어간다."
"나를 버리고 가시는 님은, 십리도 못가서 발병난다"
 
는 바로 이 아리랑은,
 
나운규가 만든 영화 '아리랑'의 주제가 라는 것입니다.
 
http://arirang.iha.go.kr/service/story.nihc?folder_rowid=1
 
영화 《아리랑》은 내용뿐만 아니라 그 주제가가 큰 울림을 남겨 오늘에도 전해진다. 주제가 〈아리랑〉은 영화 《아리랑》의 테마음악이면서 삽입곡이다. 주제가는 단순히 영화의 시작과 끝에 쓰인 시그널 뮤직 정도가 아니라 서사 전개 과정과 밀접하게 연계되어 관객의 집중력을 높였으며, 영화에 삽입되기 이전부터 전국에서 유행을 하기도 했다. 이후 개봉된 지 12년이 지난 1938년 11월 1일자 조선일보 기사를 통해, ‘아리랑은 곧 나운규’라는 공식이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 노래가 전 조선의 방방곡곡을 흐르던 때는 지금부터 13년 전 일이다.
아리랑이라면 라운규씨를 생각하게 되고 라운규씨라 하면 곧 아리랑을 연상한다.”
영화에서는 주인공과 동리 사람들에 의해 일부 가사가 네 번 불렸다. 특히 마지막 장면인 아리랑 고개에서의 합창은 영화의 주제를 다시 한 번 각인시켜 주었다. 주인공 영진(나운규 분)이 포승에 묶여 일본 순사에 호송되어 갈 때, 주인공이 뒤따르는 동리 사람들을 향해 “나를 위해 울지 마십시오. 반드시 살아 돌아오겠습니다. 대신 우리가 함께 부르던 아리랑을 불러 주십시오.”라는 말을 남기며 대합창이 이루어진다. 이 장면에서 관객들도 따라 울면서 노래를 불렀다.
 
 
 
[추가2]
 
/chalkadak/view?db=160&no=433315
대륙붕탐사라는 분이 경기아리랑을 계승하여 나운규가 아리랑을 짓게 된 역사에 대해 정리해주셨네요.
가사는 나운규의 창작이지만, 곡조는 원래 경기아리랑의 것이라 보면 되겠습니다.
따라서 나운규의 아리랑이 전통 아리랑과 무관하지 않네요. 
 
곡조는 '경기아리랑' 이고, 가사는 '나운규의 창작' 이렇게 정리하면 되겠습니다.
추천 0
비추 0

유머게시판 다른 게시글

게시물 더보기

유머게시판 인기 게시글

  1. 은근 넷마블거 같아진 일본 원작 IP3,396
  2. 2024년을 휩쓸고 있는 게임사의 "초소형" 기…8,647
  3. 19주년 된 게임 근황.jpg15,974
  4. 나혼렙 게임 유저들의 신박한 이벤트14,578
  5. 전남친 얘기했다 큰일날번한 백창기 와이프23,752
  6. WPL 팀프로 임요환의 빤스런.jpg24,365
  7. 나혼렙 어라이즈 게임 근황.jpg26,218
  8. 나 혼자만 레벨업 K-컬처박람회 개최34,920
  9. 우울할때 보는 윳긴 축구 짤37,206
  10. 가르니델리아 최신 근황38,982

2024.06.02 14:00 기준